CM

산성 비누의 중요성

필자는 웨트클리닝에서 케미컬이 얼마나 중요하다는 것을 기회 있을 때마다 강조해왔다. 케미컬을 잘만 쓴다면 좋은 품질은 물론 빨래가 쉬워지고 사고의 위험이 현저히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분이 케미컬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웨트클리닝을 어렵게 하는 것이 현실이다. 이번 호부터는 독자들의 케미컬 이해를 돕기 위해 웨트클리닝에 필요한 비누, 컨디셔너, 그리고 스팟팅 케미컬 등을 집중적으로 다룰까 한다. 알칼리성 […]

산성 비누의 중요성 Read More »

염색 빠질 때 솔벤트 관리

드라이클리닝을 하다 보면 거의 매일 세탁물에서 염색이 빠지는 것을 보게 된다. DLI의 사고 의류 자료를 보면 제조업자 측 잘못의 1번이 바로 솔벤트에 녹는 염색과 색소 문제이다. 물론 솔벤트 안에 남아 있는 염료는 드라이클리너의 문제이다. 사고 의류 자료를 보면 드라이클리너 측 잘못의 11%가 염료와 때의 재침착 문제였다. 따라서 드라이클리닝 시스템에서 솔벤트 컬러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모자란다.

염색 빠질 때 솔벤트 관리 Read More »

Dye Bleeders and Solvent Maintenance

Bleeding dyes from cleaned items are observed almost daily in drycleaning plants. According to IFI’s Garment Analysis statistics, solvent-soluble dyes and pigments lead the category of manufacturer responsibility for garment damage. Yet, dyes which remain in solvent are the drycleaner’s problem. According to the IFI Garment Analysis statistics, 11 percent of the drycleaner responsibility category

Dye Bleeders and Solvent Maintenance Read More »

염색이 빠지는 실크 직물 처리

실크 직물은 아직도 많은 드라이클리너에게 문제를 일으키고 있다. 필자의 사고의류 분석실에는 산화 또는 스팟팅으로 인해 탈색한 실크 의상이 많이 들어온다. 염색의 견로도는 제조업체의 염료 및 염색 방법에 따라 달라진다. 염색 견로도가 낮은 실크 직물을 안전하게 처리할 수 없는 게 아니지만, 인스펙션, 스팟팅 및 클리닝 방법이 달라져야 한다. 인스펙션 여러분이 백화점 등을 방문해 전시된 실크 의상을

염색이 빠지는 실크 직물 처리 Read More »

Handling Poorly Dyed Silk Fabrics

Silk continues to be a troublesome fabric for many drycleaners. Independent Garment Analysis Service receives many silk garments ranging from color loss due to oxidation and spotting procedures. The dye choice of the manufacturer and its application determines the fastness of the dye. Poorly dyed silk fabrics can still be processed but the inspections, spotting

Handling Poorly Dyed Silk Fabrics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