웨트클리닝 케미컬 선택
얼마 전 오랫동안 알고 지내던 spotting 고수가 찾아왔다. 그는 텍사스에서 유명하다는 세탁소를 두루 섭렵하며 30여 년간 빨래만 맡아 해온 최고 실력자임이 틀림없다. 필자 역시 가끔 그에게 몇 수 배우곤 할 정도이다. 비록 종업원으로 평생을 여러 주인 밑에서 일을 해 왔지만, 세탁기술에 있어선 자부심이 대단한 친구였다. 이론적인 바탕 역시 누구도 쫓아갈 수 없을 정도로 탄탄한 친구였다. […]
얼마 전 오랫동안 알고 지내던 spotting 고수가 찾아왔다. 그는 텍사스에서 유명하다는 세탁소를 두루 섭렵하며 30여 년간 빨래만 맡아 해온 최고 실력자임이 틀림없다. 필자 역시 가끔 그에게 몇 수 배우곤 할 정도이다. 비록 종업원으로 평생을 여러 주인 밑에서 일을 해 왔지만, 세탁기술에 있어선 자부심이 대단한 친구였다. 이론적인 바탕 역시 누구도 쫓아갈 수 없을 정도로 탄탄한 친구였다. […]
A veteran spotter paid a visit to me a while ago. He has been doing it for the last 30 years. He even taught me a trick or two. He never had his own store but he was very proud of his skills. The only flaw is that he has a big mouth. Once he
Wetcleaning chemicals Read More »
최근 읽은 한 글이 “싸이징”(sizing)과 “리텍스쳐라이징”(retexturizing)이란 단어에 대한 논란을 다루고 있었다. 그래서 두 단어의 의미와 콘셉트를 명확하게 설명하고 혼동을 막고자 이 글을 쓰게 됐다. 직물의 특성을 향상하기 위해 직물에 가하는 약품이나 절차를 가리키는 올바른 단어는 마감재(finishing agents)이다. 공장에서 직물을 만들 때 다양한 마감재를 사용하는데, 이것이 착용 및 클리닝으로 사라졌을 때 이를 복원해줘야 한다. 하지만 이런
I read a recent article concerning a controversy over the term sizing and retexturizing. This prompted me to write this article to expand the concept, clarify and hopefully not confuse the issue. The proper term that describes agents or procedures that are added to fabrics to enhance the properties of the fabric is called finishing
요즘처럼 수익이 빠듯하고 인력 수급이 힘든 상황에서 각 프로덕션 공정마다 세분화된 작업 기준을 설정한다는 것이 더욱 힘들고 복잡하다. 우리는 각 피니슁 유닛에서 현실적으로 시간 당 몇 피스가 나올 수 있는 지를 결정하고자 한다. 이를 작업자 시간 당 피스(PPOH; Pieces Per Operator per Hour)라고 부른다. 드라이클리닝 작업에는 다양한 종류의 의상이 포함되므로, 우리는 인스펙션에서 시작해 어셈블리와 배깅까지
With today’s tight profits and difficult labor market it becomes more challenging and complex to fix a production standard for each step in the overall production process. It is true that we want to determine the total number of pieces that the finishing units can produce realistically in a given hour. This is known as
How to set standards to determine pieces per operator per hour per finishing unit Read M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