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오늘!

우리가 어렸을 땐 부족한 것이 너무 많았다. 그래서 그 시절의 새해 첫날은 가장 행복한 날이 되었다. 어려운 살림에 흰 쌀 몇 되를 사다가 한나절을 불려 방앗간에 가져다주면 김이 모락모락 나는 미끈하고 굵은 가래떡이 먹음직스럽다. 따끈따끈한 가래떡을 간장에 푹 찍어서 한입 가득 꼭꼭 씹으면 그 맛이 얼마나 달콤했는지. 소고기 기름 동동 뜬 떡국에 통통한 만두를 얹은 떡국은 또 얼마나 맛있었는지. 가마솥 뚜껑에 돼지기름 넉넉히 둘러 막 부쳐낸 빈대떡의 고소한 냄새는 입안에 군침이 가득 차게 했다. 새해 아침에 또 한가지 신나는 일이 있었다. 설빔으로 사주신 때때옷을 입고 어른들께 세배를 드리는 일이다. 손님이 많이 오실수록 엄마는 고단하셨겠지만 어린아이들의 마음은 둥둥 떠올랐다. 세배가 끝나고 방에 들어가 주머니에 손을 넣어 보면 두둑하게 세뱃돈이 집혔다. 흡족한 마음에 벌어진 입은 귀에 걸리고, 세상에 부러울 것 없을 듯한 아주 큰 행복감은 무엇에 견줄 수 있을까?

얼마 전 신문에 행복지수에 관한 기사를 읽은 적이 있다. 흥미롭게도 먹을 것이 부족하고 국민 소득이 낮을수록 행복도가 높고, 먹거리가 많고 사회 보장이 잘 된 나라의 행복지수가 가장 낮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서 돈과 행복지수는 반비례 된다는 사실이다. 오히려 부족함을 통해서 행복감을 얻게 되는 일이 더 많다는 것이다. 새해가 된다는 것은 단순히 새 달력으로 바뀌는 일이기도 하지만 너무도 빨리 가는 세월을 또 대충 살게 될까 봐 미리 걱정스럽기도 하다. 어떤 의미로 보면 세월은 빨리 가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시간은 정지되어 있고 우리가 한정된 시간 위를 한 걸음씩 내딛는 것일 수도 있다. 마치 마라톤처럼 목표물을 향해 뛰어가는 일처럼, 인생의 종착역을 향해 매일 경주하는 삶의 연결선이 인생이란 생각이 든다. 그 걸음의 종류는 다양할 것이다. 마지 못해 땅만 바라보고 비척거리며 걸을 수도 있고, 고개를 들고 당당히 앞을 향해 걸어가기도 한다. 때로는 거센 바람에 한 걸음 한걸음이 힘들 때로 있겠지만, 또 때로는 훈풍과 따뜻한 햇볕을 받으며 즐거운 걸음이 되는 날도 있을 것이다. 중요한 것은 그 어떤 걸음도 제한된 우리 삶의 시간 일부가 된다는 점이다. (전도서 3장 1절, 천하에 범사가 기한이 있고 모든 목적을 이룰 때가 있나니 태어날 때가 있고 죽을 때가 있으며) 어떤 걸음을 걸을 것인지 선택할 것인가? 바로 그 선택이 오늘 이 순간이 행복할지 불행할지를 결정해주는 척도가 될 것이다.

새해가 되면 많은 사람이 습관처럼 새해 계획을 세운다. 그런데 대부분의 새해 계획이 작심 3일로 끝나는 것은, 계획의 중요성을 무시하거나 게을러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몸이 자주 아픈 사람이 건강을 회복하기 위해 새해부터는 하루에 40분씩 꼭 운동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고 하자. 처음에 며칠은 어떻게 해서든지 시간을 내보지만, 며칠 지나 운동을 못 하게 될 일이 생기면 다음 날로 미루게 된다. 다음 날은 또 그다음으로 미루는 일이 계속되면, 어느 순간 계획을 세웠다는 사실조차 잊어버리게 된다. 그리고 아픈 몸은 건강을 회복할 기회를 영영 놓치고 만다. 중요한 것은 하루도 거르지 않는 것이다. 30분이 어려우면 단 10분 만이라도 지속하는 성의가 필요하다. 연구에 따르면 우리의 두뇌는 우리가 행동에 옮긴 시간과 관계없이 자신이 한 행위만을 기억한다고 한다. 그러므로 10분의 운동도 시간에 관계없이 운동했다는 사실로만 기억하는 것이다. 이렇게 중단 없이 반복하는 과정에서 우리는 자신감을 느끼게 되며, 계획했던 일이 거창한 노력이 필요 없는 습관이 되면서 자연스럽게 생활 일부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도 계획이 쉽게 무산되는 이유는, 우리의 삶의 시간이 언제나 넉넉히 남아 있다고 착각하는 것이다. 그런 이유로 오늘이라는 시간의 비중을 매우 낮게 평가한다. 그러나 자신이 내일 이 세상에 있게 될 것을 확신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 (잠언 27장 1절, 너는 내일 일을 자랑하지 말라 하루 동안에 무슨 일이 날는지 네가 알 수 없음이니라) 그런 의미에서도 오늘은 그 어떤 날보다도 소중한 날이다. 상황에 따라서 다시 올 수도 없는 날이 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 데일 카네기의 자기 관리론을 읽으면서 정말 많은 공감을 했다. 그는 자신의 삶이 행복하지 않다고 느끼는 사람은 행복을 추구하는 만큼 자기 관리에 충실치 못한 결과라고 단호하게 말한다. 즉, 본인이 행복하기를 원하지 않은 당연한 보상이라고 간주한다. 데일 카네기가 소개한 자기 관리라는 대명제는 대단한 노력이나 비용, 시간 투자가 필요하지 않다. 다만 ‘오늘 하루만’ 은 이렇게 살아 보라고 권고한다.

1. 나는 오늘! 행복하게 지낼 것이다. 아브라함 링컨은 사람들은 행복 하고자 하기 원하는 만큼 행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행복은 마음으로부터 나온다. 외적인 요인도 마음을 어떻게 가지냐에 따라 행복으로 바뀔 수 있다.

2. 나는 오늘! 나의 욕망에 맞춰 모든 것을 맞추려 하지 말고, 나 자신을 그것에 맞추려고 노력할 것이다. 나는 내 가족, 일, 모든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며 그들에게 나 자신을 맞출 것이다.

3. 나는 오늘! 내 몸의 원하는 것에 중점을 두겠다. 몸을 혹사하거나 무시하지 않고 30분씩 운동하고, 돌보고,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여 내가 원하는 대로 잘 움직여주는 최고의 컨디션을 유지하겠다.

4. 나는! 오늘 정신력을 강화하겠다. 유용한 무엇인가를 배울 것이다. 정신적으로 나태하지 않겠다. 노력, 생각, 집중에 도움이 되는 글을 읽겠다. 특히 모든 삶의 지혜와 힘을 주는 성경 말씀을 많이 읽겠다.

5. 나는 오늘! 보람 있는 일을 하겠다. 다른 사람을 위한 작은 선행을 실천할 것이다. 도움이 필요한 사람에게 나의 손을 빌려주겠다. 나의 작은 수고가 누군가에게 큰 도움이 되는 기쁨을 만끽하겠다.

6. 나는 오늘! 다른 사람들의 마음에 드는 사람이 되겠다. 가능한 한 밝은 표정을 짓고, 목소리를 높이지 않고, 공손하게 행동하고, 칭찬에 인색하지 않고, 남을 비판하지 않고, 어떤 것도 흠을 잡지 않고, 누군가를 통제하거나 자신의 잣대로 다른 사람을 판단하지 않겠다.

7. 나는 오늘! 내 인생의 문제들을 한 번에 모두 해결하려 하지 않고, 오늘만을 열심히 살려고 노력하겠다. 모든 문제는 시간이 지나면 반드시 해결된다는 것을 잊지 않겠다.

8. 나는 오늘! 계획표를 만들어 보겠다. 매시간 해야 할 일을 적어 두겠다. 계획한 그대로 할 수 없을지라도 우선 시도하겠다. 서두르다 망치게 되는 일과 우유부단해서 질질 끌려가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

9. 나는 오늘! 30분씩 혼자만의 시간을 갖겠다. 그 시간 동안 나의 일생에 조금이라도 균형 잡힌 시간이 되도록 기도하고 명상하는 영적 성찰에 주력하겠다.

10. 나는 오늘! 아무것도 두려워하지 않겠다. 특히 행복을 느끼는 것이 없어질까 봐 미리 두려워하거나, 아직 생기지 않은 내일의 어려운 일을 염려하거나, 건강이 나빠져 은퇴 후 계획이 잘못 될까 봐 걱정하는 일을 하지 않겠다.

2025년도 새로운 한 해가 우리 앞에 펼쳐졌다. 우리에게 주어진 오늘, 지금 이 시간이야말로 우리의 삶을 새롭게 일궈 나갈 소중한 텃밭이다. 그 텃밭을 잘 가꾸다 보면 풍성한 내일, 그리고 미래는 환한 웃음으로 우릴 맞이할 것이다. 어찌 보면 미래라는 명사는 없다. 왜냐하면, 모두 다 오늘이기 때문이다.

50살이면 지천명(知天命)이라고 한다. 하늘의 뜻을 깨닫게 된다는 뜻이다. 아마도 사람이 50년은 살아야 행복하게 살 수 있는 세상 이치를 스스로 알게 된다는 뜻일 것이다. 그러나 꼭 50이 될 때까지 기다릴 필요가 있을까? 20대의 청년기에도 지천명을 알게 되면 매일의 삶이 감사하고 행복할 수 있을 것이고, 80대의 노년에도 그것을 깨닫지 못한다면 항상 수렁 같은 괴로움에서 벗어나기가 어려울 것이다. 전도서 3장 22절, 그러므로 사람이 자기 일에 즐거워하는 것보다 나은 것이 없나니 이는 그의 분복이라, There is nothing better, than that a man should rejoice in his works; for that is his portion 는 성경 말씀은 오늘에 충실함을 통해서 행복한 삶을 보상받게 된다는 가장 귀중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행복을 원하는가? 그렇다면 우리는 모두 행복하기 위해 열심을 다하는 오늘을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서로 힘을 주는 새해가 되기 바란다.

월간 세탁인 독자 여러분을 참~ 많이 사랑합니다. 오늘도 하하하! 웃으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감사합니다

Picture of 캐롤 남

캐롤 남

필자는 다이아몬드 컴퓨터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글에 대한 문의는 (224) 805-0898로 하시면 됩니다. ■

광고를 클릭하면 전화연결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