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덕션 저해 요소

작업 속도를 떨어뜨리는 숨은 복병이 의외로 많다

필자의 최근 고객은 단지 그뿐 아니라 나에게도 좋은 공부가 돼 주었다. 그는 매우 논리적인 사람이었지만 드라이클리닝 및 론드리 산업에 필요한 산업 엔지니어링 지식이 없이 플랜트 장비를 설치한 교과서적 케이스였기 때문이다. 덕분에 필자는 생산 속도를 높이는 동시에 퀄리티도 높이는 전형적인 작업 흐름(work flow)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올바른 파이프 규격, 스팀 트랩 그리고 설치

이는 생산성 향상의 첫 걸음이다. 만일 파이프 크기가 너무 작으면, 시작 부분의 스팀 압력이 끝 부분보다 훨씬 높아진다; 그리고 파이프 구간(run)이 너무 길면 맨 끝에 트랩을 설치했어도 스팀이 끝에 가기 전에 물이 되고 만다. 이런 경우엔, 파이프 구간을 맨 끝 트랩 외에 매 30 피트마다 트랩을 달아 줘야 하는데, 이 플랜트는 그렇지 않았다. 그 결과 끝에 있는 론드리 프레스가 시작 부분에 있는 것만큼 뜨겁지 않았다.

스팀 및 응축수 리턴 모관(母管, header)의 크기는 ASME 규정에 정해진 규격에 따라 산정해야 한다. 이 규격은 모관의 크기에 따라 에너지 손실 없이 어떤 크기의 지관이 몇 개나 나갈 수 있는 지를 말해 준다.

대부분의 플랜트가 모관을 완벽하게 같은 높이로 설치한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보일러를 끈 후 몇 시간이 지나면 그 안에 물이 고이므로 좋지 않다. 모관 안에 물이 고이면 아침에 보일러를 켠 후 작업 압력에 도달하는 시간이 더 오래 걸리고 낙킹(knocking) 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연결 부위에 악영향을 미쳐 물이 새는 등 다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올바른 설치 방법은 보일러 아래로, 10 피트 거리마다 1 인치만큼 낮추고, 올바른 규격의 트랩을 30 피트마다 설치하고, 끝에 배수 레그(leg)와 트랩을 달아야 한다. 응축수 리턴 모관 역시 보일러 룸의 리턴 탱크를 향해 10 피트 당 1 인치만큼 기울어 내려가야 한다. 이들 모관은 10 피트 간격으로 받침을 달아야 하고 보온 처리를 한다. 이렇게 보일러 룸의 리턴 탱크를 향해 기울여 주면, 스팀이 식어 생긴 응축수가 중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스팀 모관에서 모관 트랩을 지나 응축수 리턴 모관을 지나 응축수 리턴 탱크로 흘러 들어간다.

이 플랜트는 이러한 원칙을 따르지 않았고, 그 결과 론드리 프레싱 작업이 스팀 모관 끝 부분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또한 론드리 프레스 그룹들을 위한 부모관(sub-header)의 직경이 너무 작아 프레스 작업에 필요한 열량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 플랜트는 오래 전에 원래 주인이 공사한 것이었고, 그 후 장비를 추가할 때 위에 소개한 원칙을 따르지 않았으므로 현 오우너 탓만을 할 수 없었다. 하지만 이 플랜트는 환기 시설이 아주 잘 돼 있었고 항상 깨끗한 상태로 유지되고 있었다.

론드리 및 드라이클리닝 작업을 위한 올바른 스팀 압력

우선 갖고 있는 보일러의 스팀 압력 등급부터 시작해야 한다. 이상적인 선택은 최고 압력이 150 psi인 보일러이며, 적어도 125 psi 이상이어야 한다. 이러한 스팀 압력은 대개 psig(pounds per square inch gauge)로 표시된다.

최상의 론드리 프로덕션을 위해서는 작업 스팀 압력이 115~120 psig가 이상적이며, 최소한 110 psig 이상을 유지해야 한다. 이 수치는 보일러에서 측정한 것이지만, 위에서 언급한 원칙을 지켰다면 프레스로 전달되는 압력이 거의 떨어지지 않는다. 이 플랜트의 보일러는 작업 압력이 평균 90~95 psig였고, 간간이 100 psig까지 올라갔다. 이 문제는 오우너가 압력을 조절하고 고장난 트랩들을 교체함으로써 해결됐다.

참고로 가장 좋은 버켓 스팀 트랩은 125 psi 등급이 아니라 80 psi 등급이다. 왜냐하면 압력 등급이 낮은 트랩이 구멍이 더 커 응축수를 더 빨리 내보내므로 프레스가 더 뜨겁고 그 결과 론드리 프로덕션이 향상된다.

드라이클리닝 작업부에 필요한 스팀 압력은 65~70 psig이다. 스팀 압력이 70 psig 이상이 되면 너무 건조해 주름과 얼룩을 빨리 제거할 수 없다. 이 플랜트의 스팀 압력 레귤레이터는 80 psig에 맞추어져 있었고 그 결과 프레싱 타임의 손실을 가져왔다.

클리닝 및 피니슁 장비의 올바른 배치

이 플랜트에서는 걸어다니느라 너무 많은 시간이 낭비되고 있었다. 드라이클리닝 작업부의 경우, 탑퍼가 레거와 너무 떨어져 있었고, 회수 텀블러가 워셔-익스트랙터와 너무 멀었고, 스팀-에어 폼 피니셔 역시 유틸리티 프레스로부터 너무 먼 거리에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와 수퍼바이저들이 이러한 비효율적인 배치에 대해 오우너에게 아무런 불평도 하지 않고 있었다.

론드리 피니슁 작업부에서는, 셔츠 유닛 배치 상 피니슁 작업에 두 사람, 그리고 터치-업에 한 사람이 필요했다. 하지만 장비 양만 보면 한 사람만 일하도록 쉽게 배치를 바꿀 수 있었다. 터치-업 작업자는 일자리를 지키기 위해 거의 모든 셔츠를 다시 다리고 있었다.

팬츠 유닛들의 배치는 단일 작업자 유닛 두 대가 할 수 있는 일을 하기 위해 4~5 명이 일하고 있었고 다중 작업자 유닛 두 대보다 조금 더 많이 생산하고 있었다.

론드리 피니슁 유닛에서는 생산량을 높이면서 작업자 인건비를 줄이게 할 수 있었다. 전반적으로 이 오우너는 가까운 시일 내에 전체 플랜트 구조를 바꿀 계획이며, 론드리와 드라이클리닝 작업이 두 개의 큰 방 대신에 하나의 큰 방 안에 함께 위치할 것이므로, 어셈블리 작업 부위를 줄여 󰡒랏󰡓(lot) 컨트롤을 향상시키고 걷는 낭비를 줄일 것이다. 심지어 마킹 택과 시스템도 작업 효율과 고객 만족을 높이기 위해 바꿀 것이다.

장비 점검 및 정비

드라이클리닝 작업부에서는 유틸리티 프레스에 달린 배큠이, 너무 작은 크기의 배큠 모관 그리고 프레스 배큠 밸브로 가는 󰡒L󰡓 위치의 배큠 지관(take-off line) 내에 고인 물 때문에, 힘이 너무 약했다. 이 문제는 󰡒L󰡓 대신에 󰡒T󰡓를 달고 지관 내 물을 뺄 수 있는 니플 & 볼 밸브를 설치하면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크기가 작은 모관도 가까운 시일 내에 교체할 것을 권했다.

유틸리티 프레스 2 대는 헤드 스팀 밸브에 이상이 있었다. 유틸리티 프레스 한 대는 체크 밸브가 고장났고 에어 실린더가 새고 있었다. 퍼프 아이언 한 대는 고장 나 사용할 수 없었다. 수퍼바이저를 포함해 작업자 중 아무도 이런 문제를 오우너에게 보고하지 않았다. 이러한 고장을 수리하는 동시에, 장비 점검 및 정비 시스템이 무엇인지 오우너에게 설명하고 곧 마련할 것을 권했다. 수퍼바이저는 이제 매일 아침 모든 프레스의 이상 유무를 점검해야 했고, 효과적인 예방 정비 작업도 해야 했다.

다행히 론드리 작업부에 있는 장비는 대부분 상태가 양호했지만, 여기에서도 예방 정비 절차를 마련해 놓았다.

피니슁 작업 속도와 올바른 수분 함량

탈수 작업을 한 후 수분 함량이 너무 높으면 특히 팬츠와 두꺼운 셔츠인 경우 프레스에서 드라잉 타임이 길어진다. 이 문제는 탈수 싸이클 종류 후 물이 얇은 두 줄기만 나오도록 탈수 시간을 연장해 시정했다.

클리닝 작업 후 부실한 얼룩 점검

드라이클리닝 작업부에서는 스팟터/수퍼바이저가 옷을 프레서에 보내기 전에 옷에 남아 있는 얼룩을 꼼꼼하게 점검하지 않고 있었다. 프레서는 얼룩을 검사하느라 시간을 너무 많이 허비하고 있었고 그래서 프로덕션이 피해를 입었다. 필자는 환한 일광 형광등(fluorescent daylight tube)을 갖춘 인스펙션 테이블을 마련해 옷을 프레서로 보내기 전에 하나씩 검사할 것을 권했다. 빠질 수 없는 얼룩 또는 직물 및 염색 손상을 가져올 수 있는 얼룩에는 스팟터가 󰡒Sorry Tag󰡓을 부착해 프레서로 보냈다. 수퍼바이저는 택이 남용되지 않도록 할 책임을 함께 가졌다. 프레서, 인스펙터, 카운터 종업원 그리고 손님은 이런 택을 보고 미리 앎으로 해서 시간과 수고를 이중으로 낭비하는 재작업을 피할 수 있다.

론드리 처리를 위한 셔츠와 팬츠 준비

칼라 단추와 커프 단추가 채워져 있으면 워쉬 작업자와 프레서가 단추를 푸느라 시간을 낭비해야 한다. 따라서 마커로 하여금 칼라와 커프 단추를 풀게 하고 모든 주머니 단추를 채우게끔 지시했다. 수퍼바이저는 이를 지키도록 하는 책임을 맡았다.

이상에서 간단하게나마 보았듯이 프로덕션을 저해하는 요소가 의외로 많은 곳에 숨어 있다. 이런 장애 요소는 쉬 눈에 띄지 않으며 예상치 않은 곳에 숨어 있을 수 있다.


광고를 클릭하면 전화연결 됩니다